서해안·제주도 눈…해넘이·해돋이 보기 어려워 <br />내륙, 춥지만 맑아 해넘이·해돋이 볼 수 있어 <br />지자체, 해넘이·해돋이 유튜브 채널 생중계 예정<br /><br /> <br />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는 올겨울 최강의 한파 속에서 맞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확산 우려로 전국의 해넘이·해돋이 명소는 모두 통제돼, 집에서 랜선으로 '송구영신'해야 할 듯 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정혜윤 기자! <br /> <br />2020년이 이틀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해넘이 볼 수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올해 마지막 해넘이, 새해 첫 해돋이 모두 한파로 인한 눈구름이 변수가 됩니다. <br /> <br />영하 10도를 밑도는 동장군이 맹위를 떨치면서 해상에 낮은 구름이 형성됐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충청 서해안과 호남, 제주도와 울릉도·독도는 해넘이, 해돋이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그 밖의 내륙지방은 날씨는 춥지만, 하늘이 맑아서 깨끗한 해넘이, 해돋이를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역별 해넘이, 해돋이 시각은 어떻게 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는 동쪽이 서쪽보다 일찍 지고 일찍 뜹니다. <br /> <br />먼저 2020년 마지막 해넘이 시각 알아보면 독도에서 오후 5시 5분, 가장 먼저 지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오후 5시 15분에 강릉 경포대와 정동진, 부산 해운대는 5시 21분, 서울 5시 24분, 광주는 5시 31분이 일몰 시각입니다. <br /> <br />이어 해남 땅끝마을 5시 34분, 마라도 5시 38분에 이어 신안 가거도에서 가장 늦은 5시 40분에 해넘이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2021년 신축년 새해의 첫해는 오전 7시 26분, 독도에서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. <br /> <br />이어 내륙에서는 울산 간절곶에서 7시 31분에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고 부산 해운대 7시 32분, 강릉 정동진은 7시 39분에 첫해를 만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도시 일출 시각은 대구 7시 36분, 광주 7시 41분, 대전 7시 42분, 서울은 7시 47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올해는 여느 때와 달리 코로나 확산 우려로 인해 해넘이 해돋이 명소가 폐쇄되거나 통제되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코로나 위기가 커지면서 2020년 마지막 날과 새해 첫날, 전국의 해넘이·해돋이 명소의 출입이 통제됐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예년처럼 현장에서 지고 뜨는 해를 보는 일은 불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대신 전국 곳곳의 해넘이·해돋이를 랜선으로 한 번에 볼 기회가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방송국마다 전국 명소에서 해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123012510262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